영화나 드라마에서 참기 힘든 순간은 극 중 유튜버나 BJ의 방송 장면이 등장할 때다. 인터넷 개인 방송이나 광고 영상은 보고 싶지 않을 경우 스킵하거나 음소거 버튼을 누를 수 있지만, 작품에 삽입된 방송 장면은 서사 전개에서 결정적인 정보를 노출할 때가 많기에 관람을 포기할 작정이 아니라면 웬만해서는 참고 넘기기 마련이다. 개인 방송 장면에서 느낀 곤란함은 파운드푸티지 방식의 장르영화를 볼 때와 유사한, 강조된 리얼리티에 의한 곤란함이다. 리얼함을 겨냥하는 장르 안에서 사실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때, 오히려 사실성과 멀어지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드라마 <마스크걸>의 주인공 김모미(이한별)는 밤에는 ‘마스크걸’이라는 이름의 BJ로 이중생활을 하는 회사원이다. 검은 머리에 무채색 정장 차림의 모미는 퇴근 이후에는 두눈을 제외하고 온 얼굴을 덮는 반짝이는 마스크에 밝은색 가발을 쓰고, 글래머러스한 몸매가 강조되는 짧은 원피스를 입은 마스크걸이 된다. 그는 손담비의 <토요일밤에> 등 당대 최신 유행 댄스곡에 맞춰 춤을 추거나, 스스로 만든 벌칙을 카메라 앞에서 수행하며 시청자를 기쁘게 한다.
1화의 이야기는 이와 같은 변신 스토리와 이중생활의 묘미를 즐기기에 충분하다. 무엇보다 개인 방송을 묘사하는 방식이 신선했다. 방송 콘텐츠를 활용하는 드라마의 방식이 충분히 개인적이었기 때문이다. 방송을 세태 반영이나 서사 진행의 수단으로 삼지 않고 실제 참여한 이들이 느낄 재미를 설득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마스크걸은 익명의 개인이 만나 친밀하게 교류하는 장으로서의 개인 방송을 보여준다. 물론 여기에 실제의 만남이 개입하면서 살인 사건이 벌어지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방송 바깥에서 발생한 일이다. 방송 장면만큼은 방송인과 시청자가 서로의 욕망을 적절히 충족하는 평화로운 창구처럼 보인다. 마스크걸이 술에 취한 상태로 방송하다가 노출 사고를 일으키는 자극적인 장면에서조차, 시청자들이 쏜 하트가 화면을 수놓으며 노출을 가리는 모자이크로 기능한다. 하트는 늘 적절한 순간에 오차 없이 터지며 마스크걸의 움직임과 변신에 반응하는 특수효과의 본분을 다한다.
2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주오남(안재홍)은 1인 방송 소비자의 입장에서 느끼는 욕망을 잘 보여준다. 특히 영상을 보는 장면에 등장하는 360도 패닝숏은 방송과 실제의 연속성의 환상을 강조한다. 화면에서 마스크걸이 얼음을 깨면 주오남 역시 얼음을 씹어 먹고, 마스크걸이 와인을 마시면 함께 와인을 마신다. 주오남이 건배하듯 스크린에 잔을 부딪치는 순간, 드라마는 유리잔이 부딪치는 음향을 삽입하며 그의 환상에 동조한다. 이는 세상에 소외된 사람이 지닐 수 있는 작은 환상이다. 주오남은 세상을 자기 뜻대로 바꾸진 못하지만, 작은 화면 앞에서만큼은 세상과 완벽한 하모니를 이룬다.
연속과 분리
360도 패닝숏에서 엿보이는 연속성에 대한 욕망은 김모미의 욕망과 충돌한다. 김모미는 마스크걸과 자신의 명확한 분리에서 힘을 얻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드라마의 시청자는 이미 마스크걸이 김모미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별다른 기능을 하지 않는다. 설정의 진실과 별개로 실제 마스크 뒤 인물이 김모미를 연기한 배우와 같은지 두개의 눈만으로는 명확히 가늠하기 힘들며, 이로 인해 다른 차원의 혼란을 느끼게 된다. 마스크걸이 내는 목소리 역시 마스크에 눌린 흔적 없이 말끔하게 들려오기 때문에, 마스크 쓴 얼굴과 유리되어 보인다.
마스크걸의 말하기 방식은 일종의 복화술에 가깝다. 마스크걸의 복화술은 시청자들이 마스크걸에게 환상을 투영하고 서로에게 원하는 말을 들려주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반면 복화술을 억눌린 속마음의 내비침으로 이해할 때 마스크걸과 김모미 사이의 격차는 줄어든다.
주목되는 복화술의 순간은 인물들이 혼잣말을 할 때다. 드라마는 총 7화로 구성된 이야기 중 처음 5화를 다섯 인물의 일인칭 시점으로 전개한다. 내레이션은 혼잣말이자 관객에게만 들려주는 복화술이기도 하다.
여러 인물의 시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전개는 이야기의 초점을 분산해 여러 장르를 무리 없이 뒤섞으려는 시도처럼 보인다. 각화의 주인공이 내레이션을 통한 자기 서술의 기회를 얻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마스크걸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지닌다. 그런 의미에서 드라마의 일인칭 시점은 그 효과에 있어서는 삼인칭에 가깝다. 다만 <마스크걸>에서 주인공 김모미는 여전히 살아 있기에 인물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완료되지 않고 이어진다.
매개들
네명의 인물들과 모미가 맺는 관계의 특징은 대부분 특정한 매개를 기반으로 성립한다는 점이다. 주오남은 인터넷 방송과 채팅을 통해 마스크걸과 접속하며 가까워진다. 김경자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마스크걸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모미의 딸 김미모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마스크걸인 자신의 엄마와 접속한다. 이들은 대부분 인터넷이라는 공개된 정보를 통해 마스크걸에게 다가간다는 공통점이 있고, 그런 면에서 매체가 보여준 만큼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관객이 지닌 한계점을 공유한다.
김춘애는 김모미와 예외적인 관계를 맺는다. 춘애는 인물을 비추어 반사하고 이중화하는 거울과 유사하다. 거울은 김모미와 관련된 특징적인 사물로 묘사되며, 늘 카메라와의 관계 속에서 드러난다. 카메라 시점이 거울을 보는 인물의 시점과 일치함을 강조하는 숏은 카메라의 전지적 시점을 인물의 일인칭 시점과 동화하길 원하는 드라마의 욕망을 노출한다.
거울과 카메라가 만든 인상적인 장면은 5화에도 등장한다. 미모가 거울에 장난감 마이크를 가져다대는데, 다음 숏에서 카메라는 거울 내부에 들어간 것처럼 자신에게 들이밀어진 마이크를 바라본다. 이를 통해 거울이 뚫을 수 없는 단단한 표면이 아니라 자신과 닮은 존재가 사는 사각의 구멍일 수도 있다는 상상을 실현한다.
네모반듯한 거울의 형상은 수미쌍관의 드라마 형식과 조응한다.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에서 어린 모미는 홈비디오를 통해 다시 등장하는데, 이는 마스크걸은 이제 매체를 통해서만 마주할 수 있는 존재로 완전하게 남겨졌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흑백의 의미
6화와 7화의 김모미는 일인칭 시점 내레이션을 통한 혼잣말을 들려주지 않는다. 또한 6화는 컬러가 제거된 흑백으로 표현된다. 이는 예뻐지려는 욕망보다는 살인 사건에 휘말린 이후 삶을 리셋해야 하는 필요 속에서 감행한 모미의 성형과 관련된다.
흑백 화면과 함께 인물의 대사가 최소화되어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모미는 입술을 최소한으로 움직인 채 복화술을 하듯 읊조리고, 말에서 아낀 에너지는 액션 시퀀스의 과격함으로 해소된다. 이는 일순간 무성영화에 가까운 기운을 보여준다.
무성영화가 유성영화와 구분되는 특징은 이미지와 목소리의 분리에 있다. <마스크걸>은 이러한 분리화 경향을 통해 오늘날 개인의 다중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의 분리화 경향은 이미지와 목소리 사이의 분리보다는 얼굴에 새겨진 분열에 집중되어 있다.
드라마에서 주요 인물들은 일견 김모미의 거울상처럼 보인다. 하지만 정작 분열된 것은 김모미를 연기한 세 명의 배우다. 서로 다른 인물을 연기하는 비슷한 배우들과 같은 인물을 연기하는 다른 배우 사이에는 두 가지 욕망이 충돌한다. 모미들의 삶에서는 단일한 존재가 인생을 리셋하고 싶은 욕망이, 모미 바깥의 삶에서는 재구성을 통한 통합의 욕망이 읽힌다. 이러한 충돌하는 욕망은 마스크 아래에서 안전하게 통합된다. 마스크가 드러내는 건 매개가 곧 본질이 된 사회의 무표정함이다.
원본 링크: http://www.cine21.com/news/view/?idx=6&mag_id=103444